티스토리 뷰
목차
구매대행 부업을 실제로 운영할 때는 배송비와 세금(관세/부가세)을 정확하게 계산해서, 판매가와 마진(이익)을 잘 설정해야 합니다.
실제 운영 예시를 바탕으로 계산법을 정리해 드릴게요.
구매대행 부업 실전 운영 예시 – 판매가, 마진, 세금까지 계산하기
구매대행 부업을 실제로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건 정확한 수익 계산입니다.
배송비와 세금(관세/부가세)을 잘 반영하지 않으면 마진이 줄어들 수 있어요.
이번에는 미국 나이키 운동화를 예로 들어 실전 계산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🧾 실전 예시: "미국 나이키 운동화 구매대행"
항목 | 내용 |
---|---|
상품명 | Nike Air Max 270 |
해외 상품가 | $120 |
국제 배송비 | $25 |
환율 | 1 USD = 1,300 KRW |
상품 분류 | 신발 (관세율 약 13%) |
📦 1. 과세가격 계산
과세가격(USD) = 120 + 25 = 145 USD
과세가격(KRW) = 145 × 1,300 = 188,500원
🟡 $150 미만이라도 주의!
신발/의류는 목록통관 제외 품목이기 때문에 관세 부과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과세 통관이 적용되어 세금이 발생할 수 있어요.
💸 2. 세금 계산
✅ 관세 (13%)
관세 = 188,500 × 13% = 약 24,500원
✅ 부가세 (10%)
부가세 = (188,500 + 24,500) × 10% ≈ 21,300원
✅ 총 세금
총 세금 = 관세 + 부가세 = 24,500 + 21,300 = 45,800원
🚚 3. 국내배송비
- 보통 택배비: 3,000~4,000원
- 무료배송 설정 시 판매자가 부담
💰 4. 판매가 & 마진 설정
항목 | 금액 |
---|---|
상품가 (해외) | 120 × 1,300 = 156,000원 |
국제 배송비 | 25 × 1,300 = 32,500원 |
세금 (관세+부가세) | 약 45,800원 |
국내 배송비 | 3,500원 |
총 원가 | 237,800원 |
👉 판매가 예시: 279,000원
순이익 = 279,000 - 237,800 = 41,200원
📌 실무 TIP
- 환율 우대 계산도 함께 고려하세요 (카드사 환율 기준)
- 통관번호(개인통관고유부호)는 꼭 받아야 통관 지연 없이 처리됩니다
- 상품군별 관세율표 참고: 상품군별 관세율표 바로가기
빠르게 관세청 상품군별 관세율표 확인하기
실제로 구매대행 부업을 운영하면 판매가 설정과 마진 관리가 핵심입니다.
정확한 계산을 기반으로 가격을 책정하면 불필요한 손해를 줄일 수 있어요.
반응형